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집회의 자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집회의 자유는 근대 민주주의의 기본권으로, 1789년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서 처음 명시적으로 보장되었다. 이후 세계인권선언,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등 여러 국제 인권 문서와 각국 헌법에서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21조는 언론·출판, 집회·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은 집회와 시위의 절차와 제한 사항을 규정한다. 헌법재판소와 법원은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집시법을 해석하고 적용한다. 집회의 자유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중요한 권리이며, 테러와 폭력을 지원하는 집단에 대한 규제는 예외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정권 - 피선거권
    피선거권은 공직에 입후보할 수 있는 자격으로, 각국은 연령, 범죄 경력 등 다양한 요건을 설정하며, 대한민국의 경우 연령 미달, 금고 이상의 형벌, 선거범죄 등이 제한 사유에 해당한다.
  • 참정권 - 선거연령
    선거연령은 투표 가능한 최소 연령으로, 과거 특권층에 한정되었던 선거권이 민주주의 확산으로 보편화되었으며, 현재는 18세가 가장 일반적이나 국가별로 다양한 연령 기준을 가지고 16세 인하 논쟁이 활발하다.
  • 민권과 자유권 - 인권 옹호자
    인권 옹호자는 인권을 증진하고 보호하는 개인 또는 단체로서, 유엔 인권 옹호자 선언에 따라 보호받아야 하지만 협박, 체포, 살해 등의 위협에 직면하며 국제사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 민권과 자유권 - 무기 소지의 자유
    무기 소지의 자유는 개인이 무기를 소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로서, 일부 국가에서는 헌법이나 법률로 인정되지만, 총기 관련 사회 문제로 인해 총기 규제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더 엄격하게 규제되는 경향이 있다.
  • 자유 - 결사의 자유
    결사의 자유는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요소로서, 다양한 단체 결성을 통해 사회 발전을 이끌어내며, 국가별 헌법과 법률 해석에 따라 보장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며, 친밀한 결사, 표현적 결사, 조직 노동 등과 관련된 쟁점들이 존재한다.
  • 자유 - 시민 자유
    시민 자유는 국가나 타인의 간섭 없이 개인의 의사 결정과 행동의 자유를 의미하며, 정신적, 경제적, 신체의 자유를 포함하고, 헌법이나 법률로 보장되지만 그 범위와 한계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
집회의 자유
지도
개요
내용사회적 또는 정치적 그룹을 형성하고 회의를 개최할 권리
자유의 개념
관련 자유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언론의 자유
종교의 자유
관련 권리
관련 권리시민권
정치적 권리
인권
국제법세계 인권 선언 제20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제21조
기타
유사 권리시위의 자유
결사의 자유

2. 역사

집회를 열고 그에 참가할 자유는 자유주의민주주의의 중요한 권리이다(결사의 자유 참조). 둘 다 다수의 집단 형성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결사는 지속적이고, 집회는 일시적이다. 1789년의 미국 헌법 수정 제1조, 1966년의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B규약, 자유권규약) 21조, 1989년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15조에도 규정되어 있다.

집회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 법체계 하에서는 특정 정당이나 단체가 참가자에 대한 폭력적인 제재와 함께 금지되는 경우가 있다(티베트, 국민민주연맹, 파룬궁 등 참조). 그 경우에는 대개 정부에 대한 사회적인 항의도 마찬가지로 금지되어 있다.

여러 권리를 계층적으로(사법적으로 중요하고 보호되는 것을 위로 하여 사법심사 ''Judicial review'' 등 참조) 볼 경우 많은 법체계에서 일반적으로 집회의 자유는 법체계의 정점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집회의 권리를 중요시하는 사람들조차도 테러와 폭력을 지원하는 집단을 당국이 정당하게 규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집회의 자유가 인정되지 않는 국가, 시대에는 그 자체가 형사범죄로 다루어진다. 집회의 자유가 인정되는 국가에서도 어떤 이유로 집회가 규제되는 예가 많다. 어느 경우든 참가자가 구류되는 경우도 있다.

3. 대한민국의 집회 및 결사의 자유

대한민국의 헌법 제21조는 모든 국민이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지며, 집회·결사에 대한 허가는 인정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21] 이는 집회의 자유가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에 장식적 기본권으로 전락했던 것에 대한 반성이자 민주주의 원칙을 확고히 하려는 헌법적 결단으로 해석된다.[21]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은 집회 및 시위의 절차와 제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집시법은 시위를 "도로, 광장, 공원 등 일반인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장소를 행진하거나 위력 또는 기세를 보여, 불특정한 여러 사람의 의견에 영향을 주거나 제압을 가하는 행위"로 정의하지만, 집회와 시위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는다.

대법원 판례[20]에 따르면, 집회는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인이 특정한 목적 아래 일시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모이는 것"을 의미한다.

3. 1. 헌법재판소 판례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의 헌법 제21조 2항에서 집회에 대한 허가를 금지하는 조항을 근거로, 과거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에 명시되었던 야간 옥외집회 허가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21] 이는 집회의 자유가 과거에 장식적 기본권으로 전락했던 역사에 대한 반성적 의미에서 이루어진 헌법적 결단으로 이해된다.[21]

4. 주요 국가 및 지역의 집회 및 결사의 자유

세계인권선언 제20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1조, 유럽인권조약 제11조, 미주인권조약 제15조 등 주요 국제 인권 문서들은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 헌법을 통해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주요 국가들의 헌법 조항은 다음과 같다.

국가헌법 조항내용
방글라데시방글라데시 헌법 제37조 및 제38조[4]결사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 보장
브라질브라질 헌법 제5조
캐나다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 제2조
프랑스신형법전(Nouveau Code Pénal) 제431-1조
독일기본법(Grundgesetz) 제8조 (GG)
헝가리기본법 제8조 (1)항
인도인도 헌법 제19조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헌법 제28E조 (3)항
아일랜드헌법 제40조 6항 1호 ("기본권" 항목)[5][6]
이탈리아헌법 제17조[7]
일본일본국 헌법 제21조
마카오마카오 기본법 제27조
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 헌법 제10조
멕시코멕시코 헌법 제9조
네덜란드네덜란드 왕국 헌법 제8조 및 제9조
뉴질랜드1990년 뉴질랜드 권리장전법 제16조
노르웨이노르웨이 헌법 제101조
파키스탄1973년 파키스탄 헌법 제16조
필리핀필리핀 헌법 제3조 제4항
폴란드폴란드 헌법 제57조
러시아러시아 헌법 제30조 및 제31조[8]결사의 자유와 평화적인 집회의 자유 보장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권리장전 제17조
스페인1978년 스페인 헌법 제21조
스웨덴정부 형태 규정 제2장[9]
타이완 (중화민국)제14조집회 및 결사의 자유 보장
터키터키 헌법 제33조 및 제34조결사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 보장
UAEUAE 헌법 제33조
미국미국 헌법 수정 제1조
베네수엘라베네수엘라 헌법 제68조[10]



집회를 열고 그에 참가할 자유는 자유주의민주주의의 중요한 권리이다. 결사의 자유와 함께 다수의 집단 형성에 기여하지만, 결사는 지속적인 반면 집회는 일시적이라는 차이가 있다.

집회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 법체계 하에서는 특정 정당이나 단체가 금지되고, 정부에 대한 사회적인 항의도 금지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집회의 자유를 중요시하는 사람들조차도 테러와 폭력을 지원하는 집단을 규제할 수 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집회의 자유가 인정되는 국가에서도 여러 이유로 집회가 규제되는 경우가 있으며, 참가자가 구류되는 경우도 있다.

4. 1. 미국

수정 헌법 1조에서는 "또 의회는 언론·출판의 자유 또는 국민들이 평화적으로 집회를 할 수 있는 권리와 고충 처리를 정부에 청원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는 법을 제정하여서는 아니된다"며 집회의 자유를 보장했다.[1] 결사의 자유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는 1958년 "NAACP 대 앨라배마 주" 판결을 통해 결사의 자유가 인간의 기본권임을 인정했다.[1]

4. 2. 캐나다

캐나다 헌법의 권리 장전(bill of rights)인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Canadian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s) 제2조는 평화적 집회의 자유를 본질적 자유(fundamental freedom)로서 보장한다.[24] 캐나다 헌법은 집회의 자유를 마그나 카르타 이래 존재한 정돈된 자유(ordered liberty)로서 보장한다.[24]

4. 3. 일본

일본국 헌법 제21조는 집회, 결사 및 언론, 출판, 기타 모든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18] 일본에서는 자유민권운동의 요구 사항 중 하나로 집회 및 결사의 자유가 헌법에 규정되었다.[18]

1950년 6월 2일, 연합국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와 일본 정부는 도쿄도 내의 집회, 시위를 같은 해 6월 5일까지 금지했다(6월 4일에는 제2회 참의원 의원 총선거가 있었다). 6월 5일에는 금지 기간을 연장했고, 6월 16일에는 전국적인 금지로 확대되었지만, 일본 정부의 협상으로 6월 25일 이후에는 점령군 점령 목적 위반 사항을 제외하고는 완화되었다.[19]

공용시설은 관공서 청사나 공립학교 교사 등 주로 공무에 사용하기 위한 시설을 가리킨다. 이러한 시설은 주로 일반 공중의 공동 사용을 위한 시설인 도로나 공원 등의 시설이나, 회관이나 주민센터와 같이 집회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시설과는 다르다.[18]

4. 4. 홍콩

홍콩 특별행정구 기본법 제27조와 인권법은 평화적인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의 공안조례에서는 50명 이상이 공공장소에서 조직적인 집회를 열 경우, 1주일 이전에 홍콩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1]

정부의 허가 없이 행해지는 집회는 '불법집회'(非法集會)로 간주된다.[1]

4. 5. 기타 국가

국가헌법 조항내용
방글라데시방글라데시 헌법 제37조 및 제38조[4]결사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 보장
브라질브라질 헌법 제5조
프랑스신형법전(Nouveau Code Pénal) 제431-1조
독일기본법(Grundgesetz) 제8조 (GG)
헝가리기본법 제8조 (1)항
인도인도 헌법 제19조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헌법 제28E조 (3)항
아일랜드헌법 제40조 6항 1호 ("기본권" 항목)[5][6]
이탈리아헌법 제17조[7]
마카오마카오 기본법 제27조
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 헌법 제10조
멕시코멕시코 헌법 제9조
네덜란드네덜란드 왕국 헌법 제8조 및 제9조
뉴질랜드1990년 뉴질랜드 권리장전법 제16조
노르웨이노르웨이 헌법 제101조
파키스탄1973년 파키스탄 헌법 제16조
필리핀필리핀 헌법 제3조 제4항
폴란드폴란드 헌법 제57조
러시아러시아 헌법 제30조 및 제31조[8]결사의 자유와 평화적인 집회의 자유 보장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권리장전 제17조
스페인1978년 스페인 헌법 제21조
스웨덴정부 형태 규정 제2장[9]
타이완 (중화민국)제14조집회 및 결사의 자유 보장
터키터키 헌법 제33조 및 제34조결사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 보장
UAEUAE 헌법 제33조
베네수엘라베네수엘라 헌법 제68조[10]


5. 국제 인권 규범

세계인권선언 제20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1조, 유럽인권조약 제11조, 미주인권조약 제15조 등 주요 국제 인권 문서들은 집회의 자유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 인권 규범은 각 국가의 헌법과 법률에 영향을 미치며,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보호하는 국제적인 기준을 제시한다.

6. 현대 사회의 과제

현대 사회에서 집회결사의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중요한 권리로 여겨지지만, 공공의 안전, 질서 유지, 타인의 권리와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혐오 표현, 폭력 시위, 불법 집회 등은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민주주의 원칙을 훼손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공공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고,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회 및 결사의 자유, 새로운 유형의 집회 및 시위 방식(예: 드론 시위) 등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더욱 적극적으로 보장하고, 집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공공의 안전과 질서 유지를 위해 집회 및 시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참조

[1] 법규 California Vehicle Code § 21950(b) https://leginfo.legi[...]
[2] 서적 Freedom of Association Hodder Arnold 2005
[3] 판례 NAACP v. Claiborne Hardware Co., Healey v. James, Brotherhood of Railroad Trainmen v. Virginia, United Mine Workers v. Illinois State Bar Assn.
[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Bangladesh: Chapter III https://web.archive.[...] Prime Minister's Office 2011-10-02
[5] 웹사이트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Irish Constitution http://www.citizensi[...] 2018-03-03
[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reland http://www.irishstat[...] 2018-03-03
[7] 웹사이트 The Italian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The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cy of the Italian Republic
[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Russia: Article 30 http://www.constitut[...] Adopted at National Voting on December 12, 1993
[9] 웹사이트 Kungörelse (1974:152) om beslutad ny regeringsform Svensk författningssamling 1974:1974:152 t.o.m. SFS 2018:1903 https://www.riksdage[...] 2020-04-13
[10] 간행물 Situación de la criminalización y represión en Venezuela- 2018 https://www.observat[...] Observatorio Venezolano de Conflictividad Social 2019-02-00
[11] 서적 憲法 岩波書店 2023-09-01
[12] 서적 新・判例ハンドブック 憲法 日本評論社 2024-04-05
[13] 판례 損害賠償請求事件 https://www.courts.g[...] 1995-03-07
[14] 학술지 「敵意ある聴衆の法理」についての一考察 http://id.ndl.go.jp/[...] 慶應義塾大学法学研究会 2024-07-13
[15] 웹사이트 平成5(オ)1285 https://www.courts.g[...] 裁判所 2021-07-25
[16] 뉴스 日教組へ賠償6割減額 プリンスホテル集会拒否 2010-11-25
[17] 판례 損害賠償請求事件 https://www.courts.g[...] 2006-02-07
[18] 판례 損害賠償請求事件 https://www.courts.g[...] 2023-02-21
[19]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20] 판례
[21] 판례 2008헌가25 헌법재판소
[22] 웹인용 신소영, '야간시위 금지' 한정위헌…"자정까지 허용” 헌법재판소, "집회의 자유 보장”, 2014-03-31 법률신문 https://www.lawtimes[...] 2015-05-15
[23] 웹사이트 황도수, 2008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https://www.lawtimes[...] 법률신문 2009-03-12
[24] 웹인용 Discover Canada -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Citizenship https://www.canada.c[...]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 2021-06-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